반응형
1. 연산자 종류
- 수식(expression)은 연산자(operator)와 피연산자(operand)로 이루어집니다. 아래의 3과 10은 피연산자이고, +는 연산자입니다. 3 + 10을 수식이라고 합니다.
3 + 10 |
- 연산자 종류는 산술, 비교, 논리, 대입 연산자로 구분됩니다.
산술연산자 | + - * / //(몫) %(나머지) **(승수) |
비교연산자(결과는 참과 거짓 임) | < > <= >= ==(같다) !=(같지 않다) |
논리연산자 | and or not |
대입연산자, 복합대입연산자 | = += -= *= /= //= %= |
1) 산술연산자
연산자 | 의미 | 예 | 결과(a값) |
+ | 더하기 | a = 10 + 3 | 13 |
- | 삐기 | a = 10 - 3 | 7 |
* | 곱하기 | a = 10 * 3 | 30 |
/ | 나누기 | a = 10 / 3 | 3.33333 |
// | 나누기하여 몫을 구함 | a = 10 // 3 | 3 |
% | 나머지 값 | a = 10 % 3 | 1 |
** | 제곱 | a = 10 ** 3 | 1000 |
2) 비교 또는 관계 연산자
관계연사자의 결과는 True 또는 False 입니다. 주로 조건문(if문) 또는 반복문(while) 문장과 함께 사용됩니다.
만약에 a = 10, b=15가 기억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아래의 표 관계연산자 결과를 확인해 보세요.
관계연산자 | 의미 | 예 | 결과 |
== | 같다 | a == b | False |
!= | 같지 않다 | a != b | True |
> | 크다 | a > b | False |
< | 작다 | a < b | True |
>= | 크거나 같다 | a >= b | False |
<= | 작거나 같다 | a < = b | True |
3) 논리연산자 : 2개 이상의 조건이 결합되는 경우에 사용이 됩니다.
x | y | x and y | x or y | not x |
Ture | True | True | True | False |
True | False | False | True | False |
False | True | False | True | True |
False | False | False | False | Treu |
4) 복합대입연산자 : 대입연산자와 산술연산자를 함께 표기한 연산자를 복합대입연산자라고 합니다. 만약에 a에 10이 기억되어 있다면 아래의 표 결과를 확인하세요
연산자 | 예시 | 설명 | 결과(a값) |
+= | a+=3 | a = a + 3 | 13 |
-= | a-= | a = a - 3 | 7 |
*= | a*=3 | a = a * 3 | 30 |
/= | a/=3 | a = a / 3 | 3.3333 |
//= | a//=3 | a = a // 3 | 3 |
%= | a%=3 | a = a % 3 | 1 |
**= | a**=3 | a = a ** 3 | 1000 |
2. 연산자 우선순서
- 여러 연산자가 혼합되어 있을 때는 연산자 우선순위를 고려해야 합니다. 괄호( )가 우선순위가 가장 높고, 그다음은 산술> 비교> 논리> 대입 순입니다. 산술은 **이 가장 우선순위가 높으며 +와 -는 가장 낮습니다. 우선순위가 동일한 경우는 좌측에서 우측순입니다. 아래의 그림은 연산자 우선순위에 대한 내용입니다.
* 연산자와 관련된 동영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