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1. 변수와 데이터 형
- 변수(variable)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공간입니다. 저장공간은 음식을 담는 그릇과 같은 역할로서 숫자(int, float), 문자(str), 불(bool : True, False)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메모리를 확보합니다.
- 변수를 선언하거나 사용하기 위해서는 변수명 생성시 규칙과 데이터 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.
- 변수명 사용 규칙
- 문자(A-z), 숫자(0-9), _(underscore)을 사용할 수 있지만 시작문자를 숫자로 할 수 없음(예 : 2mis:X, mis2:O)
-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분함. 예를 들어 MIS와 mis는 다른 변수(기억장소)로 인식함
- 파이썬의 예약어는 사용할 수 없음. 예약어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의미가 있은 단어임(예: if, for, int 등)
- 파이썬의 데이터 형(data type)
- 기본형 : 정수형(int), 실수형(float), 불형(bool), 문자열(str)
- 변수명 사용 규칙
데이터 형 | 설명 | 형변환 | 예시 |
int | 정수(integer) | int() | 5, -1, 100 |
float | 실수 | float() | 5.23, -0.346 |
str | 문자열(string) | str() | "파이썬", 'python', "123" |
bool | 불린(boolean) | True, False |
- 확장형 : list, set, tuple, dictionary 은 데이터의 묶음입니다.
2. 변수선언과 사용
- 변수 선언 방식
- 명시적 선언(explicit declaration): 선언문을 사용하여 변수에 속성을 부여합니다. 예를 들어, int a = 0; float b=5.7 등 c언어, 자바언어, 파스칼 언어 등 대부분의 언어들이 명시적 선언을 합니다.
- 암시적 선언( (implicit declaration) : 선언문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디폴트 규칙에 의해서 변수에 속성을 부여합니다. 예를 들어 a=0; b=5.7 a라는 변수에 0을 초기화 하면 정수형 변수가 되고, b라는 변수에 5.7값을 초기화하면 실수형 변수가 됩니다. 파이썬 언어, visual basic, java script 언어가 해댱합니다.
- type() 함수는 데이터 형을 확인할 수 있는 함수입니다.
3. 동영상과 프로그램
- 프로그램
#변수와 데이터형 a = 100 #정수형 데이터형, a 기억장소에 100 대입 b = 10.8 #실수형 데이터 c = "파이썬" #문자 데이터 d= True #불린데이터 print(type(a), a) print(type(b), b) print(type(c), c) print(type(d), d) |